Home
학과소식
뉴스이벤트
뉴스 및 이벤트
서울대 스너글팀 대상수상-제7회 한국로봇항공기경연대회
태안서 전국 경연대회 서울대 '스너글' 우승
GPS 이용 홀로 목표 찾아… 50m 상공서 100m 원안에 물건 투척 성공
태안(충남)=조호진 기자 superstory@chosun.com
지난 27일 충남 태안. 한 대의 항공기가 한서대 비행장 상공을 선회하고 있었다. 항공기는 곧 지름 100m의 원 안에 정확히 물체를 투하했고, 지상에선 환호성이 울렸다.
공군의 폭격 훈련이 아니다. 사람 키보다 작은 로봇항공기가 지정된 장소를 정확히 찾아가 물체를 투하하고, 해당 지역을 촬영하는 능력을 알아보는 '제7회 한국 로봇항공기 경연대회'의 한 장면이었다.
◆팽이 원리 이용해 방향감각 찾아
로봇항공기는 군사용뿐만 아니라 민수용으로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. 지난해 미국 국방부는 2020년이 되면 무인전투기가 공중전을 수행토록 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. 또 소형 로봇항공기를 이용해 각종 재난의 감시, 인명 구조 활동이나 너른 평야에 씨앗을 뿌리는 일 등을 할 수도 있다.
대회에 출전한 로봇항공기들은 출발 신호가 떨어지면 5분 내에 스스로 이륙해야 한다. 첫 출전기는 강력한 우승후보인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기창돈 교수 연구실의 스너글(SNUGL). 출발 마감 시간 직전에 1.5m 길이의 로봇항공기는 활주로를 50m 가량 달려 힘차게 하늘로 날아 올랐다.

-
▲ 제7회 한국로봇항공기경연대회에서 로봇항공기‘스너글’이 출전을 위해 이륙하고 있다. 스너글은 주어진 4가지 임무를 모두 마쳐 대상을 차지했다. /태안=전재홍 기자 jhjun@chosun.com
이날 대회의 승부처는 로봇항공기의 군사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물건 투척. 로봇항공기는 50m 이상의 상공에서 지상의 지름 100m의 원 안에 양손에 쥘 수 있는 정도의 횟가루를 떨어뜨려야 한다. 바닷가에 있는 대회장은 강한 바람이 불고 있어 로봇항공기의 동체 궤적과 속도가 계속 변했다.
스너글은 이런 상황 속에서도 어떤 속도로 움직이면서 횟가루 뭉치를 놓을 때 뭉치가 포물선을 그리면서 원 안에 투하될지를 계산한 뒤 정확하게 투척하는 데 성공했다.

- ▲ 27일 충남 태안에서 열린‘제7회 한국로봇항공기경연대회’에서 서울대 스너글 팀이 대상을 차지한 후 환하게 웃고 있다. /태안=전재홍 기자 jhjun@chosun.com
남은 임무는 특정 위치에 있는 소방차를 로봇항공기 스스로 촬영해 좌표를 구하는 것과 지상에서 수동으로 특정 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일, 해안가에 숨겨진 마네킹을 찾아내 촬영하는 것 등이었다.
스너글은 육면체를 수동으로 촬영하는 데는 성공했지만, 스스로 소방차를 촬영하는 데는 실패했다. 일단 착륙시킨 후 분석한 결과, 카메라를 제어하는 컴퓨터 중앙연산장치(CPU)의 전선이 꼬인 게 원인이었다.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유단 교수팀의 스누아체(SNUACE)도 임무 수행 도중 착륙했다. 김 교수는 "대회에선 예기치 못한 변수가 많다"며 "우리 항공기는 전기적 노이즈(정상신호를 방해하는 잡신호) 때문에 교신에 문제를 겪었다"고 말했다.
스너글은 후반에 남은 임무를 모두 마쳐 대상을 수상했다. 충남대 에어게이트(Air-Gate) 역시 4가지 임무를 완수했지만 세부 점수에서 밀려 금상을 수상했다. 은상은 KAIST의 하이스트(HIGHEST)에게, 동상은 서울대의 스누아체에게 돌아갔다.
국방과학연구소의 구훤준 연구원은 "로봇항공기는 유인항공기보다 제어·통신·영상촬영 등 IT(정보통신기술)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"면서 "IT 분야의 강점이 있어 우리나라의 로봇항공기 분야 경쟁력은 세계에서도 높은 편"이라고 말했다.
- ▲ 비행기가 마치 사람이 걸어가는 듯 활주로에 붙다시피 아슬아슬하게 곡예비행을 하고 있다. 27일 한서대학교 태안비행장에서 열린 '제7회 한국로봇항공기경연대회'에서 시범 곡예비행을 선보이고 있다. /전재홍 기자
기사원문보기 : http://news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08/09/29/2008092901537.html
첨부파일 (2개)
- 2008092901400_0.jpg (21 KB, download:147)
- 2008092901400_1.jpg (19 KB, download:157)